일반대학원
한국문화학과(박사과정)
- 책임교수 김인규(교수)
- 연구실 055-380-9314
- 행정실 051-540-7331
소개
소개
교육목표
전인적(Holistic) 창의 융합적 한국문화 학으로 실용 분야의 전문가 양성
교육특성
한국문화학과는 창의 융합적 미래 삶의 예측이 요구되는 가운데, 기존의 동양학을 바탕으로 보다 전인적인(Holistic) 계승된 한국학을 지향하는 교육이다.
전공소개
*풍수지리학은 천기(天氣)와 지기(地氣) 이치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산, 화, 풍, 수, 방위를 5대 원리로 삼고, 모든 자연 현상을 바탕으로 생성과 소멸하는 에너지를 자연의 지형과 물, 바람의 요소들로 구성하고 상호 순환하는 관계를 통하여, 지기 에너지 동선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선택하는 방법으로 삼고 있다. 특히 풍수원리 강론을 기본으로 지기(地氣) 에너지장의 형성원리에 따라 현대 과학적 연구 기초를 방법으로 명확히 규명하는 학문이다.
*명리학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탁견을 명리 고전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학문의 현장에서 학습하여 실용 학문으로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전문화된 강의를 개설하고 있다.
*한국학은 기존의 동양사상의 기본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고 생활 속 실천 학문으로 탐구한단다. 단군 이래 홍익인간과 온고지신의 정신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 맞는 탈융합적 동양학 발전을 위해 세계 최초로 동양학(풍수학, 명리학, 성명학, 등)의 신(몸), 마음, 정신의 통합 철학을 궁구한다.
풍수 주요교과목 : 풍수리학의 현대과학적 연구방법론을 기초로 하여, 다섯 가지 대원리와 에너지론, 산의 생멸 법칙과 생멸 원리, 산맥론, 혈장론. 에너지장론, 국론, 존재론, 인간창조론, 인간사와 풍수지리학의 응용 이론과 현장 실증연구로 궁구하고 있다.
명리 주요교과목 : 명리학사연구, 명리학연구, 명리고전연구, 상학사연구, 동양철학연구, 역학개론, 음양오행론연구, 체상학연구이다.
